2024년 화랑과 승군의 후예들의 제20회 골굴사 전통무예대회 > 공지사항

본문 바로가기

  • 공지사항

    2024년 화랑과 승군의 후예들의 제20회 골굴사 전통무예대회

    페이지 정보

    작성자 Lev 날짜24-10-16 23:46 조회2회 댓글0건

    본문

    옹(甕)은 부산고구려$ '독'이라는 우리말의 한자어로서 그릇의 형태를 일컫는 말인데요.​옹기(甕器)는 약토(藥土)라는 황갈색의 유약을 입힌 그릇으로 ​질그릇과 오지그릇의 통칭입니다.​주로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그릇으로 ​간장, 된장, 고추장 등 장류를 저장할 때나 삭힐 때 사용하는​세계에서 한민족만이 가지는 독특한 음식 저장 용기라고 할 수 있는데요.​장독대에 늘어서 있는 장독들을 떠올릴 수 있겠지요.​​옹기가 한반도에서 처음 사용된 것은 신석기시대로 알려졌는데요.​독은 선사시대부터 만들어져 음식물을 저장하거나 시신을 넣는 관으로도 사용되었습니다.​삼국시대에 들어와서는 생활에 더욱 긴요하게 사용되어 부산고구려$ ​고구려 고분벽화에 크고 작은 독을 늘어놓은 장면이 있기도 하고​백제와 신라에서는 쌀이나 술, 기름과 간장, 젓갈 등을 저장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.​​옹기는 원래 질그릇과 오지그릇을 통칭하는 말이지만 지금은 주로 오지그릇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습니다.​질그릇은 흙으로 빚어 잿물 없이 구운 도기를 말하고​오지그릇은 잿물을 발라 구운 도기를 말합니다.​우리나라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조미료와 주식, 부식물의 저장 용기, 주류 발효 도구, 음료수 저장 용기 등으로 사용한 그릇이 옹기인 것인데요.​​사람에게 소용되는 부산고구려$ 것으로 도기는 가장 필요한 그릇이다. 지금의 마포, 노량진 등지에서는 진흙 굽는 것을 업으로 삼으며 이는 질그릇 항아리, 독 종류이다.​성현의 '용재총화'에 기록된 생활용기로서 독의 중요성을 말한 명언입니다.​옹기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며 지역별로 특색에 따라 또는 기후에 따라 다르게 빚고 그 모양도 다양한데요.​​서울, 인천 경기지역에서는 좌우가 볼록한 옹기를 빚고​강원지역은 추운 지방의 특성에 맞게 길쭉하게 빚고​대전, 충청지역은 입구가 작지만 좌우가 볼록하며 바닥이 다소 넓은 모양으로​광주, 전라지역은 부산고구려$ 좌우의 윗부분이 볼록하고 밑바닥은 작게​부산, 울산, 경남, 대구, 경북지역은 중간 좌우가 볼록하고 입구와 바닥은 작게​제주 지역은 물독으로 자주 사용한 탓에 좌우 윗부분이 볼록하게 빚었다고 합니다. ​​모양과 크기가 다 달라도 오랜 세월 옹기는 우리나라 발효음식의 산실이 되어 왔고​장독대는 한국의 음식 문화를 상징하는 원형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.​옹기는 통기성, 저장성, 발효성, 경제성 그리고 쓰임새의 다양성이라는 특성으로 오랜 세월 우리 생활과 함께 했던 것인데요.​옹기의 외부와 내부 사이로 부산고구려$ 공기가 통하여 예로부터 숨 쉬는 그릇으로 인식되었습니다.​​옹기는 종류와 쓰임새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우리 주변에 존재하는데요.​●항아리(장독)간장을 저장하는 용기를 말하는데 간장은 동짓달에 메주를 쑤어서 겨울 동안 띄워 두었다가 정월에 담급니다.​●물항옛날에는 물을 길어다 식수로 사용했기 때문에 집집마다 물을 저장하는 항아리가 필요했습니다.​●술항술도가(양조장)에서 사용한 술항은 술의 용량이나 숙성 정도를 파악하는 문자가 새겨지기도 했습니다.​●쌀항옹기는 통기성과 흡수성이 뛰어나 곡식 저장용 용기로 광이나 대청에 놓고 사용하였습니다.​​●똥항재래식 화장실(칙간)의 바닥을 파고 옹기를 부산고구려$ 묻어 분뇨를 저장했다가 거름으로 활용하였습니다.​●목욕통부유한 집에서는 어른도 들어앉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에 밑에는 작은 불구멍을 낸 것이 이채롭습니다.​●시루떡 또는 밥을 찌거나 콩나물을 기르는데 사용하는 용기인데요. 떡시루는 떡이 골고루 익을 수 있도록 폭이 넓고 콩나물시루는 키가 크고 폭이 좁습니다.​●동이물을 길어 나르는 데 쓰던 용기로 여인네들이 머리에 짚 따위로 엮은 또아리를 얹은 다음 그 위에 물동이를 이은 모습은 전통적인 우리네 여인들의 옛 모습입니다.​●청수통이(청수단지)매우 작으면서도 부산고구려$ 양쪽에 손잡이가 달린 특징을 가진 이 용기는 장독대를 관장하는 철륜님께 지성을 드릴 대 사용되던 것입니다.​​●널박지낮은 키에 옆으로 넓게 퍼진 용기로 채소를 씻거나 빨랫감 등을 담는데 많이 사용되었습니다.​●옴박지쌀이나 보리, 깨 등을 씻거나 설거지를 하는 데에 많이 사용된 것으로 옴배기, 옹배기라고도 불립니다.​●촛병어깨에 주구를 달아 액체를 따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식초를 넣는 용기입니다.​●자라병모양이 자라와 비슷해서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주로 야외에 나들이 갈 때 술 등을 부산고구려$ 넣던 병으로 병의 양옆에 실을 꿸 수 있는 작은 구멍이 나 있습니다.​●장군술이나 간장, 분뇨, 물 등을 담아 나르는 용기로 담긴 내용물에 따라 술장군, 똥장군, 물장군 등으로 불립니다.​​'옹기종기'라는 말이 있지요?​크기가 다른 작은 것들이 고르지 아니하게 많이 모여있는 모양을 말하는 것인데요.​큰 항아리와 작은 항아리가 사이좋게 모여있는 모양이 옹기종기입니다.​​#옹기종기 #장독대 #항아리 #음식저장용기 #술장군 #똥장군 #물장군 #물동이 #떡시루 #콩나물시루 #옹기모양 #옹기크기 #옹기특성 #숨쉬는그릇 #생활용기독 #진흙으로구운그릇 #우리나라저장용기 부산고구려$ #발효용기 #역사에서배우기 #역사적명언 #위인명언

    댓글목록

 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    BANKING ACCOUNT
    기업은행 528-023897-01-011
    예금주 : (주)에코자임
    CUSTOMER CENTER
    031-698-3007
    운영시간 : AM 09:00 ~ PM 18:00
    처음으로
    회사명 : 주식회사 에코자임 대표자 : 민지현  |  연락처 : 031-698-3007  |  팩스번호 : 070-4325-4649 | 사업자등록번호 : 144-81-12713  |  통신판매업신고번호 : 제 2013-경기성남-0606 호
    주소 :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황새울로 200번길 36(수내동, 분당동부루트빌딩 918호)  |  정보관리자 : 민지현
    T : 031_698_3007  |  F : 070-4325-4649  |  E.mail : eco_zyme@naver.com